65세가 되셨다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기초연금입니다. 😮
모르면 놓치고, 알면 매월 수십만 원의 혜택이 돌아옵니다.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는 사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수급자격과 모의계산 방법을 쉽게 알려드립니다.
기초연금이란 무엇인가요?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국민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분들에게 매월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국민연금과는 별개로 운영되며, 국민연금을 받는 분들도 소득 수준에 따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초연금 수급 기준
기초연금은 단독가구와 부부가구 기준으로 나뉘며, 아래와 같은 월 소득인정액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가구 유형 | 월 소득인정액 기준 |
---|---|
단독가구 | 228만원 이하 |
부부가구 | 364.8만원 이하 |
소득인정액은 실제 소득 + 재산의 소득환산액으로 계산되며, 근로소득, 임대수익, 예금, 부동산, 자동차 등 다양한 항목이 포함됩니다.
모의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정확한 수급 가능 여부는 복지로 홈페이지의 모의계산기를 활용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금, 주택, 자동차 등의 재산 가치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소득환산이 이루어져 기초연금 수급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예금은 잔액을 기준으로 월 소득으로 환산
- 주택 등 일반재산은 일정 기준 초과분만 반영
- 자동차는 시가 500만원 이하 제외
- 근로소득은 30% 공제
복합 재산 보유자도 항목별 계산 후 합산되며, 기초재산 공제와 부채 차감이 적용됩니다.
기초연금 수령 금액
2025년 기준 지급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 수령액은 소득인정액에 따라 감액 가능)
가구 유형 | 최대 지급액 (월) |
---|---|
단독가구 | 401,750원 |
부부가구 (1인당) | 321,400원 |
지급일은 매월 25일로 고정되어 있으며, 국민연금 수급자도 조건 만족 시 일부 수령 가능합니다.
신청 방법 및 시기
기초연금은 직접 신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생일이 속한 달의 전월 1일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예: 1960년 4월생 → 3월 1일부터 신청 가능
신청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국민연금공단 지사
- 복지로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 거동 불편 시 공단 직원 방문 접수 가능
공동인증서나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후 신청서 제출이 가능합니다.
Q&A
Q1. 국민연금 받으면 기초연금 못 받나요?
A. 아닙니다. 국민연금을 받더라도 소득기준에 맞으면 기초연금 추가 수령이 가능합니다.
Q2. 재산이 많으면 무조건 탈락인가요?
A. 아닙니다. 재산은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일부만 반영되며, 공제 항목도 있으므로 반드시 모의계산 해보세요.
Q3. 기초연금은 평생 받을 수 있나요?
A. 소득 및 재산 상황에 따라 매년 갱신되며, 조건을 유지하면 계속 받을 수 있습니다.
Q4. 부부가구도 각각 받을 수 있나요?
A. 네, 부부 모두 조건을 충족하면 1인당 금액을 각각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총액이 일부 감액될 수 있습니다.
Q5. 모의계산은 어디서 하나요?
A. 복지로(www.bokjiro.go.kr)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간단한 입력만으로도 결과 확인이 가능합니다.
기초연금, 지금 확인하세요!
기초연금은 노후의 안전망입니다. “나는 안 될 거야” 하고 넘기기엔 매월 수십만 원의 지원을 놓칠 수 있습니다.
모의계산만으로도 수급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기초연금은 받을 수 있을 때 꼭 챙겨야 하는 권리입니다. 부모님이 65세라면, 꼭 알려드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