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에어컨 껐다 켰다 vs 재습 기능, 전기세 아끼는 방법은? 인버터형 여부부터 확인하세요

by peor 2025. 7. 8.
반응형

 

여름철 전기 요금 폭탄 걱정 때문에 에어컨 사용을 망설이시는 분들 많으시죠? 특히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에어컨을 껐다 켰다 해야 전기세가 아낄 수 있다, 재습 기능이 더 효율적이다 등 의견이 분분합니다. 예전처럼 에어컨 잘못 틀었다가 전기요금에 놀란 경험이 있다면, 더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는데요. 정답은 에어컨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정속형 vs 인버터형 에어컨, 전기세 아끼는 방식이 다르다

에어컨은 크게 정속형인버터형으로 나뉘며, 전기요금을 아끼는 방식도 각각 다릅니다.

🔹 정속형 에어컨 (2011년 이전 제품 대부분)

-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 전원이 꺼졌다가, 온도가 다시 올라가면 다시 켜집니다.
- 실외기 ON/OFF 시 전력 소모가 크기 때문에, 필요할 때만 켜는 것이 전기요금 절약에 유리합니다.
- 결론: 짧게 껐다 켰다 하지 말고, 일정 시간 이상 꺼두었다 다시 켜는 것이 좋습니다.

🔹 인버터형 에어컨 (2011년 이후 출시 제품 대부분)

-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가 최소 전력으로 작동하며 온도를 유지합니다.
- 자주 껐다 켰다 하면 오히려 초기 작동 시 전력이 많이 들어 요금이 더 나올 수 있습니다.
- 결론: 희망 온도(예: 25~26도)에 맞춰 계속 켜두는 게 절전 효과가 높습니다.

 

재습 모드는 정말 전기를 덜 먹을까?

많은 분들이 재습 모드가 냉방보다 전기를 덜 소모한다고 알고 있는데, 이것도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 습도가 높은 날

- 실내 습기를 없애기 위해 재습 모드가 오래 작동합니다.
- 오히려 냉방보다 전력 소모가 많아질 수 있습니다.

🌤️ 습도가 낮은 날

- 재습 모드가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전기 사용이 적습니다.
- 결론: 날씨에 따라 냉방 vs 재습 모드를 선택하세요.

 

 

전기세 아끼는 추가 팁 ✅

✅ 바람 방향 조절

- 스탠드형 에어컨은 바람을 위로 보내는 것이 냉방 효율에 유리합니다.
- 찬 공기는 아래로 가라앉기 때문에, 바람을 위로 보내면 방 전체가 더 고르게 시원해집니다.

✅ 선풍기 병행 사용

- 선풍기를 함께 켜 두면 실내 공기 순환이 빨라져 에어컨 실외기 작동 시간이 줄어듭니다.
- 결과적으로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에너지 캐시백 제도 활용하기

- 직전 2년 같은 달 평균보다 전력 사용량을 3% 이상 줄이면, 줄인 만큼 다음 달 전기요금을 할인해주는 제도입니다.
- 2025년 7월 13일까지 가입 시 추첨을 통해 200명에게 선물도 증정하는 이벤트도 진행 중입니다.

👉 신청은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캐시백 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출처 : 한국에너지공단

 

마무리하며

에어컨 사용 시 전기요금을 아끼기 위해선 무작정 껐다 켰다 하기보다는, 에어컨의 종류와 날씨 상황, 사용 습관을 고려한 스마트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정속형과 인버터형의 작동 원리를 잘 파악하고, 재습 모드와 냉방 모드의 장단점을 이해하면 여름철 전기세 걱정 없이 시원하게 지낼 수 있어요!

반응형